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신채호 조선상고사] 고구려시대 선배 제도, 태조왕, 차대왕 시대

 

2. 태조왕・차대왕 시대 선배 제도

고구려의 강성함은 선배제도 창설로 비롯된 것인데 그 창설한 연대는 옛 사서에 전해지지 않으나, 조의(皂衣)의 이름이 태조왕 본기에 처음으로 보였으니, 그 창설이 태조・차대 두 대왕 때가 됨이 옳다. 선배는 이두자로 ‘선인(先人)’‘선인(仙人)’이라 쓴 것으로서, 선(先)과 선(仙)은 ‘선배’의 ‘선’음을 취한 것이고, 인(人)은 ‘선배’의‘배’뜻을 취한 것이니, ‘선배’는 원래 ‘신수두’교도의 보통 명칭이었는데, 태조왕 때에 와서 해마다 3월과 10월 신수두 대제에 모든 사람을 모아, 또는 칼로 춤을추고, 또는 활도 쏘며, 또는 앙감질도 하고, 또는 태껸도 하며, 또는 강의 얼음을 깨고 물속에 들어가 물싸움도 하고, 또는 노래하고 춤을 추어 그 잘하고 못함을 보며, 또는 크게 사냥을 하여 그 잡은 짐승의 많고 적음도 보아서, 여러 가지 내기에 승리한 사람을 ‘선배’라 일컫고, ‘선배’가 되면 나라에서 봉급을 주어 그 처자를 먹여 살림으로써 집안에 어려운 일이 없도록 하였다.

‘선배’가 된 사람은 저마다 편대를 나누어 한 집에서 자고 먹으며, 앉으면 고사(故事)를 강론하거나 학예를 익히고, 나아가 산수를 탐험하거나 성곽을 쌓거나, 길을 닦거나, 군중을 위해 강습을 하거나 하여, 사회와 국가에 한몸을 바쳐 모든 곤란과 괴로움을 마다하지 않는다. 그 가운데서 선행과 학문과 기술이 가장 뛰어난 자를 뽑아서 스승으로 섬긴다.

일반 선배들은, 머리를 깍고 조백(皂帛)을 허리에 두르고, 그 스승은 조백으로 옷을 지어 입으며 스승 가운데 최고 우두머리는 ‘신크마리’,‘두대형(頭大兄)’ 또는 ‘태대영(太大兄)’이라 일컫고, 그 다음은 ‘마리’,‘대형(大兄)’이라 일컫고, 맨 아래는 ‘소형(小兄)’이라 일컬었다. 전쟁이 일어나면 ‘신크마리’가 모든 ‘선배’를 모아 스스로 한 단체를 조직하여 싸움터에 나아가서, 싸움에 이기지 못하면 싸우다가 죽기를 작정하여, 죽어서 돌아오는 사람은 인민들이 이를 개선하는 사람과 같이 영광스러운 일로 보고 패하여 물러 나오는 자들은 몹시 업신여겨, ‘선배’들은 전쟁터에서 가장 용감하였다. 그때 고구려의 여러 지위는 거의 골품(骨品)으로 결정되었으며, 미천한 사람은 높은 지위에 오르지 못했지만, 오직 ‘선배’ 단체는 귀천 없이 학문과 기술로 자기의 지위를 획득하므로, 이 가운데서 인물이 가장 많이 나왔다.

지금 함경북도 재가화상(在家和尙)이 곧 고구려 ‘선배’ 유종(遺種)이니,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재가화상(在家和尙)은 화상(和尙:중) 아니라 형(刑) 받고 난 사람으로, 중처럼 머리를 깎아 화상이라 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실제와 맞는 말이다. 그러나 형벌을 받은 사람이라고 한 것은 서긍(徐兢)이 다만 중국 한나라 때 죄인을 머리를 깍고 노(奴)라 일컬은 글 때문에 드디어 재가화상을 형벌 받은 사람이라고 억지 판단을 한 것이다.

대개 고구려가 망한 뒤에 ‘선배’ 남은 무리 들이 오히려 그 유풍(遺風)을 유지하여 마을에 숨어서 그 의무를 수행해 왔는데, ‘선배’명칭은 유교도에게 빼앗기고, 그 머리를 깎은 까닭으로 하여 재가화상이란 가짜 명칭을 가지게 된 것이고, 후손이 가난해서 학문을 배우지 못해 조상의 옛일을 갈수록 잊어 자기네 내력을 스스로 증명하지 못한 것이다.

송도(松都) 수박(手拍)이 곧 ‘선배’경기의 하나이니, 수박이 중국에 들어가서 권법(拳法)이 되고, 일본에 건너가서 유도(柔道)가 되고, 조선에서는 조선왕조에서 무풍(武風)을 천히 여긴 이래로 그 자취가 거의 전멸하였다.

 

발췌: 신채호 조선상고사 고구려 선배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