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불국사 석가탑 복원 눈앞…"앞으로 천년은 끄떡없을 것"(종합)



석가탑 복원작업 (경주=연합뉴스) 김준범 기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관계자들이 4일 오전 경북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경내에 있는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복원 마무리 작업을 하며 3층 옥계석을 올리고 있다.

연말까지 수리작업 마무리…내년초 원래 모습대로 일반에 공개

(경주=연합뉴스) 임상현·박상현 기자 = 2012년 9월부터 해체 수리에 들어간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이 연말까지 보수작업을 마무리한 뒤 내년 초 일반에 공개된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4일 경주 불국사 석가탑 수리 현장을 언론에 공개하면서 3층 옥개석(屋蓋石·탑신 위에 지붕처럼 덮은 돌) 설치 작업을 마쳤다.

안정화 기간을 거쳐 이달 안에 탑의 맨 윗부분인 상륜부를 조립하면 탑 수리 공사는 마무리된다.

연구소는 연말까지 가설 덧집을 철거하고, 내년 초부터 석가탑의 온전한 모습을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김덕문 건축문화재연구실장은 "전통기술에 현대기술을 조화롭게 적용해 최대한 원형을 보존함으로써 역사적 진정성을 확보한 것이 이번 보수공사의 특징이다"고 말했다.

또 "기존 부재를 활용하면서 첨단기술을 동원해 수리와 보존처리를 거쳤기 때문에 앞으로 1천년 이상은 끄떡없을 것이라고 장담한다"고 밝혔다.

석가탑 복원 마무리 작업
연구소는 이날 언론을 상대로 3년간에 걸친 보수공사 추진 경과 설명회를 열었다.

석가탑 해체 수리는 2010년 정기 안전점검에서 상층기단 일부 등 곳곳에서 균열이 발견돼 시작됐다. 당시 상층기단 갑석의 북동쪽에서 길이 1.32m, 최대 폭 5㎜의 틈이 확인되기도 했다.

갑석 균열은 기단의 적심을 구성하는 흙이 오랜 기간 바람과 물에 유실되면서 내부 공간이 생기고 하중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것이 연구소 측의 설명이다.

김 연구실장은 "기단 내부에 흙 대신 연구소가 개발한 무기질 보수재료를 집어넣어 시간이 흘러도 입자가 흐트러지거나 날아가지 않도록 했다"며 "부재가 닿는 면적도 최대화하고 내부 공간을 줄여 구조도 보강했다"고 밝혔다.

새로 개발한 보존처리법을 이용해 깨진 부재를 100% 다시 사용했다.

외과의사가 부러진 뼈를 붙이기 위해 철심을 박듯이 열전도율이 낮고 잘 부식되지 않는 티타늄 소재의 은장(부재와 부재 사이에 넣는 부품)을 사용했다.

김 연구실장은 "석조문화재 무기질 보수재료 공법과 티타늄 은장 공법은 특허를 출원해 앞으로 석탑 수리 과정에서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복원을 앞둔 석가탑은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원년(740)에 김대성이 불국사를 발원하면서 세웠다.

제모습 찾아가는 석가탑
고려 초기인 현종 시대에 경주 일대를 덮친 지진으로 일부가 파괴되자 대대적으로 수리했고, 이후 천년을 버티다 1966년 도굴꾼이 탑재 일부를 훼손하면서 해체됐다.

해체 작업 중 2층 옥개석을 들어내리는 과정에서 돌이 굴러 떨어지자 공사를 중단한 채 2층 몸돌 사리공에서 사리장엄구만 수습하고 나서 다시 탑을 올렸다.

당시 사리공에서는 은제 사리내·외합, 금동사리합,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공양품 등 유물 40여건이 발굴됐다. 그중 28건은 국보 제126호로 지정됐다.

2012년 부재를 해체한 뒤 2013년 4월 사리장엄구를 꺼냈고, 그해 7월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불입상(金銅佛立像) 1점을 발견했다.

지난해는 기단 내부 조사와 석탑 복원 설계를 했고, 올 9월에는 석탑 2층 몸돌에 있는 사리공(舍利孔)에 2013년 해체공사 도중 수습한 사리와 장엄구, 수리기 등을 담은 사리장엄구를 봉안했다.

내년 초부터 일반에 공개하고 불국사에서 석가탄신일에 석가탑의 성공적인 수리를 축원하는 법회도 열 계획이다.

shlim@yna.co.kr